로고

(주)유창공업
  • 커뮤니티
  • 자료실
  • 커뮤니티

    자료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 생존율 2.2배↑··· 목격자 대응이 심정지 환자 살린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또또링2
    댓글 0건 조회 102회 작성일 25-06-22 06:42

    본문

    인스타 팔로우 구매

    일반인들이 심정지 환자 등을 심폐소생술 하는 비율이 점차 올라서 30%를 넘어섰다. 현장에서 목격자들이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2배나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사례 1만6782건 중 1만6578건(98.8%)에 대한 조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지난해 상반기 급성심정지 사례는 남성이 1만784명, 여성이 5985명이었다.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77.8%를 차지했다. 추락, 운수사고 등 질병 외 원인으로 인한 발생은 21.8%였다. 급성심정지는 가정, 요양기관 등 공공장소가 아닌 곳(64.0%)에서 주로 발생했다.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45.1%로 가장 많았다. 도로나 상업시설 등 공공시설에서의 발생은 17.8%였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9.2%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0.4%포인트 올랐다. 혼자서 일상생활을 할 정도로 뇌기능을 되찾는 뇌기능회복률도 전년에 비해 소폭 올라 6.4%였다.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전년 대비 0.4%포인트 증가하면서 30.2%를 기록했다. 이 항목이 조사된 이래로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48.5%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11.6%로 최저를 기록했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환자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이 경우 환자의 생존율은 14.3%, 뇌기능회복률은 11.4%였다. 이는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없던 경우보다 각각 2.2배, 3.2배 높다.
    질병청은 비의료인인 일반인 구조자의 구조 과정을 담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있다. 2025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과 2024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오는 12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