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유창공업
  • 커뮤니티
  • 자료실
  • 커뮤니티

    자료실

    아펜젤러 2세인 헨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8-18 01:28

    본문

    동두천치과 아펜젤러 2세인 헨리 도지 아펜젤러가 배재학당 교장실에서 찍은 사진. 그가 배재학당 교장으로 근무하던 1920~1930년대에 찍은 것으로 보인다. /배재학당역사박물관 “‘도살자’라는 별명을 가진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조선 총독은 별명에 걸맞게 행동했다. 3·1 운동 이후 (일본군과 경찰은) 민간인 불량배들의 부추김을 받아 밤마다 시위대에 난입해 무자비하게 구타하고 총검으로 찔렀다.”구한말 한국에서 태어나 격동의 한국사를 생생하게 지켜본 외국인의 회고록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공개됐다. 서울 중구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은 14일 개막한 특별전 ‘해방 정국과 배재학당’에서 아펜젤러 2세인 헨리 도지 아펜젤러(1889~1953)가 1951년 10월 부산에서 쓴 회고록 ‘내가 겪은 세 개의 한국’을 처음 공개했다. 아펜젤러 2세인 헨리 도지 아펜젤러. /배재학당역사박물관 헨리 도지 아펜젤러는 미국인 선교사로 한국에 첫 서양식 학교인 배재학당을 세운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1858∼1902)의 아들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낸 그는 1900년 한국을 떠났다가 17년 만에 돌아와 선교 활동을 했다. 아버지가 세운 배재학당의 교장을 맡아 20년간 수많은 인재를 길러냈으나 일제로부터 부당하게 쫓겨났다. 광복 이후 한국에 다시 들어와 미군정과 6·25 전쟁을 지켜봤다. 헨리 도지 아펜젤러의 회고록 '내가 겪은 세 개의 한국' 첫 장. /배재학당역사박물관 그는 회고록에서 ‘내 어린 시절의 한국’ ‘일본의 한국’ ‘해방된 한국’으로 나눠 자신이 겪은 세 개의 한국을 기록했다. 그는 “내 어린 시절의 한국은 진정한 한국인의 나라”라면서 “남자들이 상투를 틀고 말총 갓을 쓰고 있었으며, 배재학당의 첫 번째 용감한 학생들이 미국에서 돌아온 필립 제이슨(서재필의 영어 이름)의 지도에 따라 머리를 자른 것은 상당한 혁신이었다”고 썼다.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을 만났을 때 어색한 한국어로 인사하자 고종이 크게 웃었다는 일화도 있다.일제강점기를 기록한 ‘일본의 한국’부분이 특히 주목된다. 1917년 선교사로 다시 한국에 온 그는 “한국의 주권이라는 환상은 1910년 8월 29일 완전한 식민지 병합으로 곧 사라졌다”며 “1917년 내가 받은 첫인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 합의에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이 필수이며 러시아도 이를 수용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현지 시간 17일, NBC 뉴스에 나와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자국 방어권이 있는 주권국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할 거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전쟁을 끝낼 최선의 방법은 완전한 평화 합의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미·러 정상회담에서 휴전을 요구했지만,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동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왜 러시아에 제재를 더 부과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새 제재가 러시아가 휴전을 받아들이도록 강제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러시아는 이미 매우 혹독한 제재를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재가 고통을 주려면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부과하는 순간 러시아를 협상 테이블에 앉힐 능력이 심각하게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간 18일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을 만나 러시아와의 협상에 대해 논의할 계획입니다. 루비오 장관은 ABC뉴스 인터뷰에서는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분야를 식별했다는 점에서 진전이 있었지만, 이견이 있는 어떤 주요 분야들이 남아 있다"고 밝혔습니다. 평화 합의가 임박하지는 않았다는 의미라며 합의를 향해 진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