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을 누비며 동아시아의 핵 억제력 강화에
페이지 정보

본문
쿠팡퀵플렉스
태평양을 누비며 동아시아의 핵 억제력 강화에 기여했던 미국의 핵 잠수함도 미 조선 산업 붕괴의 후폭풍을 피하지 못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핵 잠수함 USS헬레나는 최근 몇 년 동안 바다에 나가는 시간 보다 부두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았다”며 “해군의 정비 문제를 대표하는 상징이 됐다”고 지적했다. USS헬레나는 유지·보수 지연으로 6년간 정비와 시험 운행을 거듭한 끝에 지난달 퇴역했다. 미 해군이 운영하는 로스엔젤레스급 핵 잠수함 USS 오클라호마시티. USS 헬라나와 동급이다. [AP=연합뉴스] 1986년 진수된 USS헬레나는 로스엔젤레스급으로 미 샌디에고와 하와이를 거점 삼아 태평양에서 주로 활동했다. 과거 진해와 제주의 해군기지에도 정박했던 USS헬레나는 서해를 비롯한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한·미 연합 훈련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작전을 펼쳐왔다. USS헬레나는 2017년 말 미 해군이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에 유지·보수를 맡기면서 정비에 들어갔다. 당초 몇 개월을 예상한 정비였지만 방어 시스템 개량과 선체 정비 등 추가 정비가 거듭되며 약 4년이 지난 2022년 1월에야 미 해군에 되돌아갈 수 있었다. 그 사이 수억 달러의 예산이 들었던 데다가, 이듬해에도 추가 정비와 시험 운항을 반복하며 해군 조선소를 들락거렸다고 한다. 정비 6년만에 지난해 6월 쿠바의 관타나모만 해군 기지에 입항하는 등 작전에 다시 투입됐지만, 출항 준비하던 중 젊은 수병이 정비 중 부주의로 열어둔 전원 장치에 감전돼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지난해 7월부터 운항을 멈춘 USS헬레나는 결국 1년 뒤에 공식 퇴역했다. USS헬레나의 정비 지연과 인명 사고는 미국이 군함 건조뿐 아니라 이미 보유한 선박과 잠수함 유지·보수·정비(MRO)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는 사례라고 WSJ은 꼬집었다. WSJ은 미 해군의 전력 약화의 원인을 미 조선 산업의 쇠퇴와 맞물린 MRO 역량 약화에서 찾았다. 네 곳밖에 남지 않은 미 정부 소유 조선소가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과 잠수함 정비를 도맡고 있지만, 장비 노후화와 숙련공 이탈, 도크 부족으로 정비 지연은 일상이 됐다. 선박 수리 지연 때문에 기존 함대의 작전 시간은 길어지고, 그에 맞춰 정비 기간이 더 길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미시시피주에 위 태평양을 누비며 동아시아의 핵 억제력 강화에 기여했던 미국의 핵 잠수함도 미 조선 산업 붕괴의 후폭풍을 피하지 못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핵 잠수함 USS헬레나는 최근 몇 년 동안 바다에 나가는 시간 보다 부두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았다”며 “해군의 정비 문제를 대표하는 상징이 됐다”고 지적했다. USS헬레나는 유지·보수 지연으로 6년간 정비와 시험 운행을 거듭한 끝에 지난달 퇴역했다. 미 해군이 운영하는 로스엔젤레스급 핵 잠수함 USS 오클라호마시티. USS 헬라나와 동급이다. [AP=연합뉴스] 1986년 진수된 USS헬레나는 로스엔젤레스급으로 미 샌디에고와 하와이를 거점 삼아 태평양에서 주로 활동했다. 과거 진해와 제주의 해군기지에도 정박했던 USS헬레나는 서해를 비롯한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한·미 연합 훈련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작전을 펼쳐왔다. USS헬레나는 2017년 말 미 해군이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에 유지·보수를 맡기면서 정비에 들어갔다. 당초 몇 개월을 예상한 정비였지만 방어 시스템 개량과 선체 정비 등 추가 정비가 거듭되며 약 4년이 지난 2022년 1월에야 미 해군에 되돌아갈 수 있었다. 그 사이 수억 달러의 예산이 들었던 데다가, 이듬해에도 추가 정비와 시험 운항을 반복하며 해군 조선소를 들락거렸다고 한다. 정비 6년만에 지난해 6월 쿠바의 관타나모만 해군 기지에 입항하는 등 작전에 다시 투입됐지만, 출항 준비하던 중 젊은 수병이 정비 중 부주의로 열어둔 전원 장치에 감전돼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지난해 7월부터 운항을 멈춘 USS헬레나는 결국 1년 뒤에 공식 퇴역했다. USS헬레나의 정비 지연과 인명 사고는 미국이 군함 건조뿐 아니라 이미 보유한 선박과 잠수함 유지·보수·정비(MRO)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는 사례라고 WSJ은 꼬집었다. WSJ은 미 해군의 전력 약화의 원인을 미 조선 산업의 쇠퇴와 맞물린 MRO 역량 약화에서 찾았다. 네 곳밖에 남지 않은 미 정부 소유 조선소가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과 잠수함 정비를 도맡고 있지만, 장비 노후화와 숙련공 이탈, 도크 부족으로 정비 지연은 일상이 됐다. 선
쿠팡퀵플렉스
- 이전글취미보컬레슨 미 재무 “트럼프, 한국의 좋은 제안을 조금 더 올렸다” 25.08.05
- 다음글서울미디학원 부산근현대역사관서 15일 시민참여행사 ‘태극기 휘날리며’ 25.08.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