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23일 서울
페이지 정보

본문
대명상조 내구제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식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7.23.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지난해 문재인 전 대통령과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건배하는 사진을 두고 “무능한 사람은 무능한 사람끼리 논다”고 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정성호 법무부 장관 등 이재명 정부 주요 장관들에 대해서도 과거 비난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 처장은 지난해 5월 1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방송에서 문 전 대통령과 조 전 대표가 건배하는 사진을 올리고 “무능한 사람은 무능한 사람끼리 논다”며 “무능한 사람들끼리 서로 존경한다. 돌아버리는 거지”라고도 했다. 지난해 4월 20일에는 문 전 대통령, 조 전 대표, 이낙연 전 국무총리, 임종석·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 다섯 명을 거론하며 “국가적 재앙을 만든 자들”이라며 “이 자들은 정치판에서 몰아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한국 사회의 정치판이 정화될 수 없다”고 했다.최 처장은 지난해 6월 8일엔 우상호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에 대해 “조선시대 정신 상태”라며 “20년 동안 이한열 열사 끌어안고 있는 그거 하나로 해먹었다”고 했다. 당시 친명(친이재명)계가 국회의장 선거를 앞두고 추미애 당선인을 사실상 지지하고 나선 데 대해 우 수석이 “권력 서열 2위를 당 대표가 결정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말한 것을 비판하며 나온 발언이다.최 처장은 2021년 3월 31일 페이스북에는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구 부총리와 이호승 당시 대통령정책실장 등을 거론하며 “얘네들을 보니까 이 위기상황에서 어떤 반성도 없이, 국가 운영 전략도 없이, 그냥 이렇게 마무리되겠구나 싶다”고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 장관에 대해선 “민주당의 가장 큰 문제는 정성호 같은 인물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라며 “왜 이리 XX 같은가”라고도 했다.그는 올해 5월 한 소셜미디어 방송에선 “이준석(개혁신당 대표)을 지지하는 2030이 있다면 이준석보다 훨씬 지적 수준이 떨어지는 애들”이라며 “이준석 같은 아이가 말하는 걸 쭉 들어보면 완전히 자기 잇속만을 챙기는 사람”이라고도 했다. 민주당은 최 한국의 관세 협상이 촉박한 시간과 ‘15%’라는 숫자의 덫에 걸렸다. 상호 관세가 부과되는 8월 1일까지 불과 4일 남은 데다 일본(관세율 15%)과 비슷한 성적표를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에서다. 2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1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통상 현안을 협의한다. 상호 관세 발효일 하루 전의 막판 교섭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4~25일 이틀에 걸쳐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나 협상을 진행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27일 참모들로부터 협상 상황을 보고받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등 대통령실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정부는 농산물 등을 협상 품목에 올리고, 조선업 협력 등을 협상 타결의 촉매제로 활용할 전망이다.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수출관세를 15%로 낮추는 쪽으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정부 입장에서는 15% 초과의 성적표를 받아들인다면 일본보다 못한 협상을 했다는 것으로, 국내 여론에 대한 부담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주말 등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관세 협상의 마지노선은 8월 3일(일요일)인 만큼 막판까지 협상을 타결하려고 노력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 일본보다 높은 관세 땐 한국성장률 0.8%도 못 지킨다 부진한 관세 협상 성적표를 받을 경우 국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크다. 일본·독일 등이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가장 큰 경쟁국이라서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해 미국 수입 상위 9개국을 대상으로 수출경합도(ESI)를 분석해 보니 일본 0.52, 독일 0.41로 1위·2위를 차지했다. 수출경합도가 1에 가까울수록 같은 품목을 미국에 주로 수출해 경쟁도가 치열한 국가다. 한국은행은 최근 “일본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가 부여될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 5월 전망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을 내놨다. 관세가 15%를 넘을 경우 기존 경제성장 전망치(0.8%)보다 후퇴가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 교수는 “관세로 인해 대미 수출이 감소하게 되면 내수 회복으로 인한 경제
대명상조 내구제
- 이전글캡파일 전 세계서 ‘품절 대란’ 뾰족 이빨 라부부…누구냐, 넌 25.07.28
- 다음글뜨는주식 ‘경청·소통’ 강조해온 이 대통령, 강선우 여론에는 ‘침묵’ 일관 25.07.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