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인 등 국내 265만명 체류주말엔 지방 거주자
페이지 정보

본문
동두천치과
필리핀인 등 국내 265만명 체류주말엔 지방 거주자 올라와 합세일각 “타국 갈등에 휘말릴 우려”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캄보디아인들이 최근 국경 분쟁이 있었던 태국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일부 참가자는 한국어로 ‘태국이 먼저 공격했습니다’라고 적힌 손 팻말과 태극기를 들고 있다./김지호 기자“태국은 죄 없는 캄보디아를 먼저 공격했다.” “침략을 당장 중단하라!”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은 500명이 넘는 캄보디아인들로 가득 찼다. 이들은 파란색·흰색·빨간색이 교차된 캄보디아 국기와 함께 ‘태국 군(軍)을 규탄한다’ ‘침략을 멈춰라’라고 적힌 팻말을 흔들며 시위를 벌였다. 그런데 팻말 문구가 캄보디아어가 아닌 한글이었다. 국경 분쟁으로 양국이 무력 충돌하는 상황을 한국 사회에 알리기 위해 거리로 나선 것이다.같은 날 오후 2시 종로에서 약 2km 떨어진 혜화역 3번 출구 앞에선 필리핀인 300여 명이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필리핀 국기와 전직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의 초상화를 들고 어눌한 한국말로 “두테르테를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마찬가지로 ‘청중’은 한국인이었다. 시위대 중 한 명은 기자에게 “엉망이 된 필리핀 상황을 한국인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했다.서울 도심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국제 시위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다국적 기업과 국제 기구 등이 밀집한 서울이 빠르게 국제화하면서 외국인들이 자국 문제를 세계에 알리는 공론의 장으로 자리 잡는 모양새다. 작년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약 265만명으로 한국 인구의 5.2%였다. 지난 10년간 1.5배 증가했는데, 일본(3%)과 비교해도 배 가까운 비율이다.일본 도시개발 조사기관인 모리 기념재단이 매년 세계 도시 경쟁력을 평가하는 글로벌파워시티지수(GPCI)에서 서울은 작년 기준 세계 6위였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세계가 주목하는 서울은 각국으로 정보가 퍼져나가는 주요 허브가 됐다”며 “표현의 자유를 제대로 갖지 못했던 국가에서 온 외국인들이 특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가 되고 있다”고 했다.지난달 2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는 미얀마 군부 규탄 시위가 열렸다. 미얀마인 600여 명은 서울역과 시청을 거쳐 종각까지 약 4.5km를 행진하면서 “군부는 물러가라, 주권은 국민에게” 등의 구호를 한국어로 외쳤다. 필리핀인 등 국내 265만명 체류주말엔 지방 거주자 올라와 합세일각 “타국 갈등에 휘말릴 우려”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캄보디아인들이 최근 국경 분쟁이 있었던 태국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일부 참가자는 한국어로 ‘태국이 먼저 공격했습니다’라고 적힌 손 팻말과 태극기를 들고 있다./김지호 기자“태국은 죄 없는 캄보디아를 먼저 공격했다.” “침략을 당장 중단하라!”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은 500명이 넘는 캄보디아인들로 가득 찼다. 이들은 파란색·흰색·빨간색이 교차된 캄보디아 국기와 함께 ‘태국 군(軍)을 규탄한다’ ‘침략을 멈춰라’라고 적힌 팻말을 흔들며 시위를 벌였다. 그런데 팻말 문구가 캄보디아어가 아닌 한글이었다. 국경 분쟁으로 양국이 무력 충돌하는 상황을 한국 사회에 알리기 위해 거리로 나선 것이다.같은 날 오후 2시 종로에서 약 2km 떨어진 혜화역 3번 출구 앞에선 필리핀인 300여 명이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필리핀 국기와 전직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의 초상화를 들고 어눌한 한국말로 “두테르테를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마찬가지로 ‘청중’은 한국인이었다. 시위대 중 한 명은 기자에게 “엉망이 된 필리핀 상황을 한국인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했다.서울 도심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국제 시위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다국적 기업과 국제 기구 등이 밀집한 서울이 빠르게 국제화하면서 외국인들이 자국 문제를 세계에 알리는 공론의 장으로 자리 잡는 모양새다. 작년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약 265만명으로 한국 인구의 5.2%였다. 지난 10년간 1.5배 증가했는데, 일본(3%)과 비교해도 배 가까운 비율이다.일본 도시개발 조사기관인 모리 기념재단이 매년 세계 도시 경쟁력을 평가하는 글로벌파워시티지수(GPCI)에서 서울은 작년 기준 세계 6위였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세계가 주목하는 서울은 각국으로 정보가 퍼져나가는 주요 허브가 됐다”며 “표현의 자유를 제대로 갖지 못했던 국가에서 온 외국인들이 특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가 되고 있다”고 했다.지난달 2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는 미얀마 군부 규탄 시위가 열렸다. 미얀마인 600여 명은 서울역과 시청을 거쳐 종
동두천치과
- 이전글음원사이트가격 시리아, 9월 독재정권 추출 후 첫 총선···“소수민족 대표성 보장이 관건” 25.08.01
- 다음글PD학원 롯데칠성음료, 플라스틱 배출 1250톤 감축···“친환경 활동 덕분” 25.08.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