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유창공업
  • 커뮤니티
  • 자료실
  • 커뮤니티

    자료실

    엄정면 원곡리 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8-12 15:45

    본문

    동두천치과 엄정면 원곡리 일원 설치 예정인 소각장 조감도.사진=독자제공 [충청투데이 김의상 기자] 충북 충주시가 엄정면 원곡리 일대에 추진 중인 산업폐기물 소각·건조 시설 설치를 두고 주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주민들은 행정 절차의 공정성은 물론, 주변 환경과 주민들의 건강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당초 이 사업은 2023년 8월 A 업체가 500t 규모의 폐기물 파쇄·재활용 시설로 '조건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하지만 이 업체는 지난 6월 하루 96t 규모의 소각시설과 슬러지 건조시설, 산업폐기물 처리까지 포함한 대규모 변경안을 시에 제출하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이와 관련, 사업장 인근 주민들은 "지난해 총회에서 주민들이 전원 반대 의사를 밝혔다"면서 "하지만 시는 '민원조정위원회'를 거쳐 조건부 '적합' 결론을 내리고 허가를 승인했다"고 주장했다.주민들은 변경 과정에서 절차 투명성도 문제 삼았다.시가 엄정면사무소를 통해 의견 수렴 공문을 발송했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주민은 아예 통보조차 받지 못했다고 반발했다.엄정면의 한 주민은 "전달 시점도 늦었고 공지도 부실했다"며 "특히 일부 주민들은 공문을 보지도 못했다. 주민들의 의견 수렴은 보여주기식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사업자 측이 주장한 '엄정면 주민 찬성률 78%'라는 수치도 근거 없다는 주장도 제기됐다.반대 추진위는 인근 거주민 50명 중 48명이 반대에 서명했고, 원곡리 옥성마을(68가구)과 하일·논동·탑평마을 등 총 120여명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며 사업자 측이 주장한 '엄정면 주민 찬성률 78%'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주민들은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악취, 그리고 장기적 건강 피해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폐기물 사업장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청주시 민간 소각장 인근 마을에서 특정암 환자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며 "전국적으로 피해 사례가 뚜렷한데, 우리 마을에 소각장과 건조장이 들어오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반대 추진위는 서명운동, 시청 항의 방문, 사업계획서 한일화해와평화플랫폼 관계자들이 12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한국YMCA전국연맹 제공 한·일 종교시민사회단체가 8·15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양국의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구축하는 데 함께 힘을 모으기로 다짐했다.한일화해와평화플랫폼(한일플랫폼)은 12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한충목 한일플랫폼 공동대표는 인사말에서 “일제와 독재의 잔재, 분단 체제의 현존 등 온전히 이루지 못한 수많은 과제가 아직 남아 있다”며 “국가 주권을 온전히 실현해야만 한·일 간 온전한 화해를 이룰 수 있고,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도 이룰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광복 80주년을 맞아 한·일의 종교시민사회단체는 국민주권, 국가주권을 온전히 실현하면서 함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자 다짐한다”고 밝혔다.일본 측 대표인 다카다 켄 한일플랫폼 공동대표도 “한일 국교 정상화 60년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에 맞아 한·일 민중이 손을 맞잡고, 동북아시아 민중의 연대와 평화 구축을 위해 함께 나아갈 것을 다짐한다”며 “한·일 시민의 연대야말로, 복잡하고 어려운 정세를 평화롭고 미래에 희망이 보이는 시대로 열어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신승민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장은 이어진 발언에서 “종교인의 가장 큰 역할은 갈라진 것을 잇는 화해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며 “화해의 기본적인 전제는 진정한 반성과 불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약속이며, 화해와 치유의 사명은 사람과 사람의 연대로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훈(오른쪽) 팍스크리스티코리아 공동대표와 손미희 우리학교와아이들을지키는시민모임 대표가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YMCA전국연맹 제공 한일플랫폼은 이날 “역사의 과오를 직시하고, 화해의 길로 나아가자”며 “동아시아를 뒤덮는 전쟁과 패권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평화의 길로 나아가자”는 취지의 성명을 발표했다.한일플랫폼은 “우리는 한·일 양국과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기 위해 모든 문제 해결의 근간에 보편적 가치인 인권 존중을 최우선으로 하는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며 이같이 밝혔다.특히 대규모 군비 확장보다 외교를 통한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일본 평화헌법의 수호와 실현, 미·조 및 일·조 관계의 정상화, 동아시아 비핵지대화와 핵 없는 세계 실현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