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눈으로 본 근대 일본…’ 박훈 교수,
페이지 정보

본문
동두천치과
‘한국인의 눈으로 본 근대 일본…’ 박훈 교수, 역사교훈 다룬 책 출간약소국일수록 배외주의자 득세리스크 있어도 교류해야 번영… 日 유연한 리더, 반대파도 등용무조건적 배일주의 적절히 제어… 일본 이끌어야할 분야 적지 않아일본 근대를 통해 오늘날의 한국을 성찰한 신간을 낸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 조종엽 기자 jjj@donga.com광복 80주년을 맞는 오늘날 한국은 세계 주요 국가로 발돋움했다. 한반도를 강점했던 일본은 우리와 나란히 선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됐다. 역사에서 되새겨야 할 교훈이 80년 전과 같은 배일(排日)에 머물러선 안 되지 않을까. 마침 국내 대표적 일본 근대사 학자인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가 최근 ‘한국인의 눈으로 본 근대 일본의 역사’(어크로스)를 발간했다. 지난달 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그를 만났다.빌헬름 하이네의 그림 ‘매슈 페리 제독의 가나가와 방문’. 1854년 지금의 일본 요코하마에서 이뤄진 미일화친조약 체결 장면을 담고 있다. 함대를 이끌고 나타난 미국 페리 제독의 압력에 체결된 이 조약으로 일본은 나가사키 외에 시모다, 하코다테 두 항구에 외국의 선박이 기항하는 것을 허용했다. 어크로스 제공신간은 메이지유신부터 패전까지 근대 일본의 도약과 몰락의 역사를 우리의 관점에서 짚어 본 책이다. 19세기 일본은 인구와 경제 대국으로 에도 막부가 안정적으로 다스리고 있었다. 그런 일본은 체제를 변혁하며 근대화의 길을 걸었는데, 농민 반란이 잇따르던 조선은 불안한 체제를 고수하다가 몰락했다는 건 아이러니하다.박 교수는 “서양 함대를 본 일본도 외세를 두려워했던 건 매한가지였지만, 개방을 하고 적극적으로 외부의 충격을 받아들였다”며 “반면 조선은 개방을 너무 늦게 한 데다, 개혁의 길로 나아가려는 정치적 용단이 부족했다”고 진단했다. 일본은 서구 열강의 외압에 끌려간 것이 아니라, 그것을 국가의 전환점으로 삼아 능동적으로 도약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日 유신지사들의 방향 전환1863년 10월 사쓰마번에 밀려 교토에서 쫓겨난 조슈번은 ‘양이를 주장하다가 탄압을 받았다’는 명분을 쥔다. 박 교수는 책에서 이를 두‘한국인의 눈으로 본 근대 일본…’ 박훈 교수, 역사교훈 다룬 책 출간약소국일수록 배외주의자 득세리스크 있어도 교류해야 번영… 日 유연한 리더, 반대파도 등용무조건적 배일주의 적절히 제어… 일본 이끌어야할 분야 적지 않아일본 근대를 통해 오늘날의 한국을 성찰한 신간을 낸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 조종엽 기자 jjj@donga.com광복 80주년을 맞는 오늘날 한국은 세계 주요 국가로 발돋움했다. 한반도를 강점했던 일본은 우리와 나란히 선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됐다. 역사에서 되새겨야 할 교훈이 80년 전과 같은 배일(排日)에 머물러선 안 되지 않을까. 마침 국내 대표적 일본 근대사 학자인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가 최근 ‘한국인의 눈으로 본 근대 일본의 역사’(어크로스)를 발간했다. 지난달 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그를 만났다.빌헬름 하이네의 그림 ‘매슈 페리 제독의 가나가와 방문’. 1854년 지금의 일본 요코하마에서 이뤄진 미일화친조약 체결 장면을 담고 있다. 함대를 이끌고 나타난 미국 페리 제독의 압력에 체결된 이 조약으로 일본은 나가사키 외에 시모다, 하코다테 두 항구에 외국의 선박이 기항하는 것을 허용했다. 어크로스 제공신간은 메이지유신부터 패전까지 근대 일본의 도약과 몰락의 역사를 우리의 관점에서 짚어 본 책이다. 19세기 일본은 인구와 경제 대국으로 에도 막부가 안정적으로 다스리고 있었다. 그런 일본은 체제를 변혁하며 근대화의 길을 걸었는데, 농민 반란이 잇따르던 조선은 불안한 체제를 고수하다가 몰락했다는 건 아이러니하다.박 교수는 “서양 함대를 본 일본도 외세를 두려워했던 건 매한가지였지만, 개방을 하고 적극적으로 외부의 충격을 받아들였다”며 “반면 조선은 개방을 너무 늦게 한 데다, 개혁의 길로 나아가려는 정치적 용단이 부족했다”고 진단했다. 일본은 서구 열강의 외압에 끌려간 것이 아니라, 그것을 국가의 전환점으로 삼아 능동적으로 도약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日 유신지사들의 방향 전환1863년 10월 사쓰마번에 밀려 교토에서 쫓겨난 조슈번은 ‘양이를 주장하다가 탄압을 받았다’는 명분을 쥔다. 박 교수는 책에서 이를 두고 “약소국일수록…외세를 받아들이고 이용해 도약할 수 있는 여유와 능력의 폭이 좁다. 그러니 곧잘 배외주의자가 그 사회의 지도자가 된다. 그러나…그들은 지도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썼다.“사실 개방은 인기가 없거든요. 충격이 있고, 관성을 바꿔야 하고, 손해 보는 집단이 생기고, 백성은 불
동두천치과
- 이전글삼국패왕전 또 윤석열 옹호한 김문수 “계엄은 대통령 비상대권” 25.08.12
- 다음글1년 6개월 의·정갈등, 전공의 복귀로 봉합 국면 진입 25.08.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